BeakJoon/Python

조건 : 학생은 30명, 제출자는 28명 입력은 총 28줄로 한 줄에 하나씩 주어지게 만들어야함 결과 출력은 2줄로 되어야함 먼저 가장 작은 것을 출력하고, 그 다음 출석번호를 출력해야함 코드 #빠른 런타임을 위해 input() 대신 sys.stdin.readline()을 쓰기 위해 불러옴 import sys #num_list에 1 부터 30 까지 리스트로 저장 num_list = [i for i in range (1,31)] #for문을 통해 입력받는 숫자는 num_list에서 삭제 for _ in range(28): num_list.remove(int(sys.stdin.readline())) #리스트 앞에 '*'을 붙여 언패킹하여 print함수에 전달 #전달받은 print함수는 전달받은 각 요소를 각..
이 문제를 풀기 위해 알아야 하는 배경지식 : 손익분기점을 구하는 공식 손익분기점 공식 즉 손익분기점은 총 고정비용 / (가격-변동비용) 이다 손익분기점이 존재하지 않으려면? 가격이 변동비용보다 작거나 같다면 존재하지 않는다 즉 가격=C: print(-1) #손익분기점을 출력 else: print(A//(C-B)+1) 마지막 print(A//(C-B)+1)에서 '//' 연산자를 사용해서 고정비용을 (가격-변동비용)으로 나눌 때 정수가 나오도록 하고 그 값에서 1을 더한 것이 손익분기점이 되기 때문에 +1을 해주었다. 이해가 잘 안 된다면 위의 코드를 컴파일하기 전에 +1을 지우고 컴파일해보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.
쿼딩~
'BeakJoon/Python' 카테고리의 글 목록 (6 Page)